
이웃님들은 블로그 잘 운영하고 계신가요?
전 네이버 블로그 하나, 티스토리 블로그 하나 이렇게 운영하고 있는데 저는 뭐 소소한 취미처럼 블로그를 하고 있습니다만 블로그 운영만 잘했을뿐인데 대기업 연봉 부럽지 않게 돈을 버시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
며칠전 유튜브를 보다가 우연히 블로그를 잘 운영해서 결국엔 온라인 마케팅 대행사를 운영중이고 월 9억 매출을 버는 분 이야기를 봤는데..
세상에... 이거야말로 그들만이 사는 세상 (a.k.a 그사세) 이로구나! 싶더군요.
갑자기 자극을 받아서 블로그와 관련된 책을 한 권 읽었는데, 유익한 정보도 많고 건질 내용도 많아서 이웃님들께 추천드리고 싶어 포스팅으로 가져와봤어요.
추천 책 제목
'누구나 하루 30분 투자로 월 100만원 더 버는 블로그 부업'이라는 책이구요. 리뷰를 보니 챕터 1,2장은 중복되는 내용이 너무 많고 실질적으로 도움되는 내용은 챕터3부터라고 해서 저도 챕터 3부터 통독했습니다. 살짝 챕터 1,2를 봤더니 재태크와 관련된 블로그 책을 몇 권 읽어보신 분들이라면 익히 들었을 내용들이라 스킵해도 될 것 같았어요.
주요내용
블로그 활동성 지수, 인기도 지수, 포스트 주목도 지수, 인기도 지수 4가지 영역에서 점수를 많이 따야 최적화 블로그가 된다.
활동성 지수: 운영기간, 포스트 수, 포스트 쓰기 빈도, 최근 포스트 활동성이 지수에 포함된다.
인기도 지수: 방문자 수, 방문 수, 페이지 뷰, 이웃 수, 스크랩 수가 포함된다.
주목도 지수: 공감, 댓글을 많이 받을 수록 좋다.
인기도 지수: 포스트 1개 단위당 조회수, 공감, 댓글, 엮인글, 스크랩 반응을 따진다.
현재 네이버의 로직은 C-Rank와 DIA로직인데, 블로그를 한 분야의 전문으로 특화시켜야 상위노출 할 수 있도록 근본을 바꾸어버렸다.
하지만 하나의 분야를 고집할 필요는 없다. 필자의 블로그도 6가지 분야에 대해 계속해서 꾸준히 포스팅을 하고 있고, 6가지 영역 모두 C-Rank 최적화가 일어나면서 상위노출이 쉬어진다.
포스팅은 반드시 검색의도에 잘 부합되면서 독창적이고 유익한 내용으로 담아야 한다. 반응이 나오는 글을 써야 한다는 말이다.
DIA로직으로 이제는 문서의 전체 맥락과 상관없이 특정키워드를 많이 넣는 걸로 속일수 없다. 이제는 알고리즘이 단어만 보는 게 아니라 글 전체의 문맥을 독해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내 글을 많이 클릭하고 오래 체류하고 공감과 댓글을 달아야 하기 때문에 제목, 카피, 썸네일, 서문등에 신경을 써야한다.
읽는 사람이 북마크하고 싶고 친구에게 공유/추천해주고 싶은 문서, 해당주제에 대해 도움이 될 만한 충분한 길이의 정보와 분석내용을 포함한 문서가 좋다.
글자색을 하얀색으로 만들어 안보이게 한다던지 글 접기 기능을 사용한다던지 하는것은 네이버가 굉장히 싫어하므로 하지 말것!
이제는 키워드를 억지로 5회 이상 우겨넣지 않고 자연스럽게 글을 써도 충분히 상위노출을 할 수 있다.
읽고 난 후
아니..키워드 하얀색으로 가려서 안보이게 하는거, 로직이 완전 싫어하는 행위인 줄 저만 몰랐나요? 허허
네이버 블로그는 제 사업장 홍보 포스팅도 담겨있어서 유입되었으면 좋겠다 싶은 키워드를 남발하는 게 좀 그래서 하얀색으로 키워드를 가려서 여러번 게시했는데ㅜㅜ 그러면 안되는거였다뉘..
오늘 당장 게시글 수정 작업 들어가야겠어요.
C-rank 로직이 도입되기 전 블로그에 관한 책을 몇 권 읽었었는데 완전히 달라진 내용들이 많이 있어서 좀 놀랬고, '아..역시 사람은 고인물처럼 있으면 안되겠구나..늘 배워야겠다' 싶었습니다.
블로그, 제대로 가꾸고 싶으신분 그리고 이왕이면 블로그를 제2의 머니 파이프라인으로 만들어보고 싶으신분은 한 번 이 책을 읽어보셨으면 좋겠어요.
행복한 불금되세요 ♥
'공부하기 >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추천][좋은 글귀 수집] 덴마크 휘게 hygge 요약 (1) | 2024.11.14 |
---|---|
[책 추천][좋은 글귀 수집] 조승연의 플루언트 요약 (2) | 2024.11.13 |
의사들도 모르는 기적의 간청소 (간청소 방법 상세 정리) (0) | 2024.11.10 |
역사책 한국사책 추천 : 벌거벗은 한국사 사건편 /강추 별 다섯개! (1) | 2024.01.15 |
Why책 유럽의 성립과 발전 요약정리 (0) | 202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