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나는 쫄보다. 

심각하게 소심하고 그냥 A형이 아닌 트리플 A형이다.

산 속에서 칡뿌리 캐어먹으며 도를 닦는 수행자가 아니라면 현대를 사는 사람들은 누구나 돈에 관심이 많고

그들의 많은 걱정거리 중 하나가 바로 돈이다.

나라고 다르지 않다.

사치나 허영과는 거리가 매우 먼 현실주의자라서 일확천금을 바란다거나 엄청난 부자가 되길 바란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다만 나이가 들어 자식에게 아쉬운 소리 하고 싶지 않고

몸이 아프면 내 돈으로 병원비 계산해서 당당하게 치료 받고

죽는 순간까지 내가 번 돈으로 쓰면서 살고 싶을 뿐이다. 

내 딸이 출산을 하면 산후조리원 비용도 대주고

손주들 용돈 시원하게 쏘는 할머니가 되고 싶을 뿐이다.

뭐 그리 대단한 걸 바라는것도 아닌것 같은데, 요즘 같은 하이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이 꿈도 원대해보인다. 


어릴 때 부터 나는 돈에 관심이 많았다.

그 당시에는 생활보호대상자였어서 국가에서 보조금을 받으며 살아야 했고

학급회비 밀리면 조마조마 가슴이 터질것 같았던 시절을 겪어야 했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초등학교 때 복조리 판매 아르바이트를 맨 처음 했던 때가 생각난다.

낮부터 어둑어둑 해질때까지 복조리를 팔려고 집집마다 돌아다녔는데

수확은 별로 였었지 싶다. 

'와....돈 버는 게 이리도 힘든거였구나.

우리 엄마는 내가 돈이 필요하다면 아무 말 없이 돈을 주셨는데, 그 돈이란 게 

이리도 벌기가 힘든 거였구나.'

정말 충격적인 경험이어서 퇴근하고 돌아오신 엄마께 무릎을 꿇고 앉아

키워주셔서 감사하다고.

돈 버는 게 이리도 힘든줄 몰랐다고. 

했던 게 기억난다. 

그 후 중학교 때는 닭갈비집 아르바이트, 

신문 배달 정도를 해봤고

고등학교 때에는 열심히 공부해서 장학금 받는 것으로 알바를 대신했다. 

대학교 들어가서는 호프집, 종로 옷가게 알바, 커피숍, 아웃바운드 텔레마케터 등 여러가지 알바를 뛰어봤다.


끊임없이 스스로 돈을 벌어본 경험 때문이었는지

어쨌든 나는 수중에 들어온 돈은 착실하게 저축하고 불리는 습관이 배어있다.

저축이란 게 은근 중독이 되는거라

통장 잔고가 늘어날때 마다 커져가는 심리적 위안, 그 것 때문에 계속 저축 저축 저축을 했던 것 같다.

 

하지만 어른이 된 후부터 읽기 시작한 재테크 책들은 하나 같이

저축만 하면 바보라고 이야기했고,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저축은 오히려 손해라고 이야기했다.

주식을 공부해야 한다고 말하고

부동산 공부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이 다 그렇다고 말하니까 나는 그런 줄 알았고,

일단은 소심하게 펀드를 가입하는 것으로 저축 이외의 재테크 방식에 손을 대 보았다.

처음 펀드에 가입하려고 은행에 갔을 때, 

나는 속으로 내가 참 영리한 사람인 줄 알고 우쭐댔다. 

'재테크 공부를 하니 이렇게 펀드라는 것도 알게 되고, 난 참 스마트한 사람이야'

그냥 , 뭐랄까.

저축 말고 다른 재테크 방식을 써본다는 것 자체가 20대의 나에겐 대단히 멋있게 보였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보면 참 순진한 발상이다.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집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경제적 자유란 본인이 만들어 놓은 시스템에서 생활비 이상이 계속 조달되는 상황을 말한다.

 

뚜렷하지만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세워라

 

일단은 1000만원 모으기부터! 목표 달성의 즐거움을 만끽하라.

 

만기를 달리해서 여러 개의 통장에 분산 저축하기

 

구체적인 수치와 일정으로 비전을 제시하라.

 

수입에는 노동의 대가로 얻는 수입과, 이자 소득 , 주식 시세 차익, 배당, 부동산 시세 차익, 임대 소득 등 자산에 의해 형성되는 수입이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을 누가 빨리, 많이 형성하는냐에 따라 게임의 승패가 갈린다. 초기 자본금을 종잣돈이라고 한다. 종잣돈을 빨리 만들어라.

 

종잣돈을 모으는 단계에서는 자가용은 돈 먹는 기계, 가족 인원 수에 비해 큰 집도 과소비에 해당된다. 지출을 줄이는 것이 재테크의 기본이다.

 

젊은 날에 조금 부족하게 사는 것은 전혀 흉이 아니다. 한 살이라도 젊었을 때 자본을 만들어야 한다.

 

어느 정도 자산을 형성하고 나면 은행 저축만으로 자산 운용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세상이 변하니 방법론도 변한다. 인쇄된 것은 이미 고정된 지식이므로 이보다는 경제 신문을 보는 것이 좋다.

 

경제신문 2-3년을 보면 세상을 보는 눈이 열리고, 10년을 보면 돈이 날아다니는 것이 보이게 된다. 지식이 있어야 돈도 번다.

 

현업에 충실하라. 최선의 재테크는 자신에 대한 투자이다.

 

투자는 보너스 개념으로 접근하라.

 

기사 행간에 숨어 있는 정보를 읽어내지 못하면 기사의 의도대로 원격조종되는 꼭두각시가 될 수 있다.

 

감정이나 선입관에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정보를 해석하는 능력이 부자의 능력이다.

 

유명 애널리스트들의 기사, 기고문을 추적 관찰 일기를 써서 진짜 실력있는 사람인지 파악해본다.

 

나의 투자 일기를 써서 몇 개월 지난 후 다시 들춰보고 분석함으로써 고수가 되어 간다.

 

가계부 대신 대차대조표를 써라.

 

총자산(부동산, 동산) 부채(대출이자, 카드값등)

 

저축, 주식, 부동산, 총자산, 부채, 순자산, 증감 순으로 정리해보기.

 

시장을 이해하려면 자신 뿐 아니라 여러 시장 참여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반응할지 생각해보라.

 

진정한 투자자라면 시장이 불확실성을 인정해야 하며, 더 나아가 불확실성을 즐기는 사람이 프로라고 할 수 있다.

 

분산 투자하라. 자신만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라

 

부동산 가격은 한번 오르면 떨어지지 않는 하방 경직성을 가지고 있다 (가격이 떨어지면 그냥 그대로 살려고 하기 때문)

 

부동산은 거래 비용이 많이 들고 수요와 공급이 제한적이며 환금성이 떨어진다.

 

부동산은 주식보다 초기자본이 많이 들어간다.

 

부동산은 입지를 보라. 교통 교육, 생활환경 등/ 많은 사람들의 직장과 가까운 곳에 집을 사는 것이 좋다

 

건물 가치보다 대지 가치가 높은 곳이 장기적으로 상승 가능성이 있다.

 

건물은 감각상각이 되지만 입지는 감가상각이 되지 않는다.

 

 

 

 

 

 

 

 

 

 

 

반응형

+ Recent posts